척수성 근 위축증 아동의 기능적 운동 평가서 (HFMSE)
Item 21, 22 : Right / Left hip flexion in supine
(바로 누운 자세에서 오른쪽/왼쪽 고관절 구부리기)
시작자세 : 바로 누운 자세에서 두 다리를 편 상태(고관절, 슬관절 신전 된 자세)
* 평가 시행 전 고관절과 슬관절의 수동적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고 굴곡 구축이 있을 경우 비고에 기록
지시어 : 오른쪽/왼쪽 무릎을 가슴 쪽으로 최대한 많이 가져가 보세요.
* 팔이나 손을 사용해서 다리를 잡아 당기면 안되며 평가 시 반대쪽 다리를 잡아주지 않아야 한다.
* 굴곡 동작 시 고관절이 외회전 되거나 반대쪽 다리에 닿는 것은 허용한다.
점수
2 - 고관절을 완전히 구부릴 수 있다.
* 반대쪽 다리가 같이 올라올 때 마지막 범위까지 고관절 움직임이 분리되어야 한다.
1 - 고관절과 무릎을 시작자세에서 10% 이상 범위 만큼 구부릴 수 있으나 완전 굴곡에는 미치지 못한다.
* 발은 바닥에 붙어 있거나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0 - 동작을 수행하지 못한다.
* 양쪽 다리를 동시에 움직여야만 수행할 수 있거나 고관절과 슬관절의 굴곡구축이 심할 경우에는 0점.
Item 23 ~ 24 : High kneeling to right / left half kneel
(무릎서기 자세에서 오른쪽 / 왼쪽 반 무릎서기 자세로 바꾸기)
시작 자세 : 무릎서기 자세에서 양 손을 뗀 자세
* 자세를 취할 때(자세 전환시) 벤치에 한 팔을 짚거나 팔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지지하기 위해 벤치나 자신의 몸을 사용할 수 있다.
지시어 : 오른쪽 / 왼쪽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닿도록 무릎을 세워 반 무릎서기 자세를 만든 후 팔을 짚지 말고 10초 동안 유지하세요.
* 한쪽 무릎과 반대쪽 발에 체중을 두고 엉덩이가 다리에 닿지 않아야 한다.
점수
2 - 팔을 짚거나 또는 짚지 않고 반 무릎서기 자세를 만든 후, 팔을 짚지 않고 10초 동안 유지할 수 있다.
1 - 반 무릎 서기 자세로 한 팔을 짚고서 10초 동안 유지할 수 있다.
0 - 동작을 수행하지 못한다.
* 팔을 짚거나 몸통이나 엉덩이를 지지해 주어도 10초 동안 유지하지 못하면 0점 처리한다.
Item 25~26 : High kneeling to standing, leading with left / right leg (through right half kneel)
(무릎서기 자세에서 왼쪽 / 오른쪽 다리부터 시작하여 일어서기)
시작자세 : 양손을 떼고 무릎으로 선 자세
* 동작 시범이 필요 할 수 있다.
지시어 : 손을 사용하지 말고 왼쪽 다리 / (오른쪽 다리) 부터 세워 일어나 보세요.
(손을 사용하지 말고 오른쪽 반 무릎서기 / (왼쪽 반 무릎서기)를 거쳐 일어나 보세요.)
* 반드시 반 무릎서기 동작을 시행하고 일어서기를 수행해야 한다.
점수
2 - 반 무릎서기 자세에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 일어 날 수 있다.
* 자신의 몸이나 허벅지 등에 손을 짚는 동작이 일어나면 안된다.
1 - 팔로 지지하거나 몸통을 벤치에 기대며 일어 날 수 있다.
* 두 다리를 세워 무릎의 체중 부하를 제거하는 경우 1점 처리 한다.
0 - 동작을 수행하지 못한다. (일어나기 동작을 시작할 수 없다.)
'나미는 물리치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척수성 근 위축증 아동의 기능적 운동 평가서 (HFMSE) - 8 (Test 30~33) (32) | 2023.09.14 |
---|---|
척수성 근 위축증 아동의 기능적 운동 평가서 (HFMSE) - 7 (Test 27~29) (53) | 2023.09.11 |
척수성 근 위축증 아동의 기능적 운동 평가서 (HFMSE) - 5 (Test 18~20) (22) | 2023.09.01 |
척수성 근 위축증 아동의 기능적 운동 평가서 (HFMSE) - 4 (Test 15~17) (14) | 2023.08.28 |
척수성 근 위축증 아동의 기능적 운동 평가서 (HFMSE) - 4 (Test 12~14) (2) | 2023.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