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뇌성마비2 뇌성마비(Cerebral Palsy) 환자의 수술적 치료 - 3 고관절의 변형 및 치료 뇌성마비 환자의 수술적 치료 - 고관절의 변형 및 치료 1. 고관절 내전 변형 (Hip Adduction Deformity) [원인] 고관절의 내전 변형은 내전근군(장, 단내전근_Adductor Longus / adductor brevis, 대내전근_adductor magnus), 박근(gracilis) 및 내측 슬괵근(hamstring)의 경직성에 기인하며 보행 전 주기를 통해 이들 근육의 활동성이 관찰됩니다. [증상] 경직성이 심하고 양측성으로 내전변형이 나타날 경우 특징적인 가위보행(scissoring gait)이 나타납니다. [수술방법] 내전근건 절단술(adductor tenotomy) 및 폐쇄신경 전지 절단술(obturator N. anterior branch neurectomy) 2. 고관절 .. 2023. 8. 11. 뇌성마비(Cerebral Palsy)환자의 수술적 치료 - 1 (족관절의 변형 및 치료) 뇌성마비 환자의 수술적 치료 원칙은 환자의 병리생리학적 상태와 환자의 보행 양상에 따라 결정된다. 경직형 뇌성마비(spastic type)가 주된 대상이 될 수 있으며 경한 정도의 불수의 운동형(Athetoid type), 또는 경직성이 있는 혼합형 일부에서 대상이 될 수 있으나 운동실조형(Ataxia type)에서는 수술적 치료의 적응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 수술은 대상자의 보행이 발달되고 성숙되었을 경우 보행이상의 원인에 대해 한번의 수술(One Stage)로 해결해야 한다. 이러한 한번의 수술의 장점으로는 새로운 변형의 발생과 변형의 재발 등의 빈도가 줄어들고 수술 이후의 물리치료 과정이 용이하며 Diving 증후군(원인을 한가지씩 치료하면서 발생되는 자세의 이상 상태)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2023. 8. 1. 이전 1 다음 반응형